산이 좋은 날

중용의 도론에서.. 본문

한문고전

중용의 도론에서..

運善최명길 2007. 9. 17. 23:08
728x90

堪輿견딜감,수레여(하늘과땅)  辜負허물고,짐질부(직,간접으로 도와주는데도 달갑게 여기지 않고 본의나  기대에 어긋나는 짓을 함) 轟沈수레모는소리굉,잠길침(함선이 포격을 받아 순식간에 가라앉음)蜀葵나라이름촉,해바라기규(접시꽃)疸症황달달,증세증(황달)凶煞흉할흉,죽일살(불길한운수나 흉한귀신)宸襟대궐신,옷깃금(임금의 마음)鐵槌쇠철,망치퇴(쇠몽둥이)戟盾창극,방패순(창과방패)頒賜나눌반,줄사(임금이물건을 나누어줌)黍粟기장서,조속(기장과조)隘陋좁을애,좁을루釋奠해석할석,제사질낼전/정할전(석전제)萃聚모일췌,모일취袞職곤룡포곤,직책직(임금의직책,임금을보좌하는3공의직책)擄掠사로잡을노,노략질할략尨茸삽살개방,무성할용靄然아지랑이애,그러할연嗾囑부추길주,부탁할촉肌液살기,진액喘咳헐떡거릴천,기침해垢穢때구,더러울예愾憤성낼개,분할분藿湯콩잎곽,끓일탕斧劈도끼부,쪼갤벽捐館버릴연,집관

擅恣멋대로천,방자할자偈頌중의글귀게,칭송할송(부처의공덕을찬미하는노래)

杜鵑막을두,두견이견裏罫속리,줄괘笠도롱이사,삿갓립刮摩깎을괄,갈마

捺染누를날,물들염懲毖혼날징,삼갈비遡源거슬러올라갈소,근원원孕胎아이밸잉,아이밸태僉押다첨,누를압雀巢참새작,새집소拐杖속일괴,지팡이장宏闊클굉,트일활

廐吏마구간구,아전리結紐맺을결,끈유眄視곁눈질할면,볼시補貼도울보,붙을첩

撒垈뿌릴살,터대潰滅흩어질궤,멸망할멸坦懷평평할탄,품을회袂別소매몌,다를별

(소매를 잡고 이별한다는 뜻, 섭섭하게 헤어지는것)臼磨절구구,갈마秤錘저울칭,저울추

 

中庸(가운데중,쓸용)의 道論 에서

네번째 君子(군자)의 處身(처신)

君子는 素其位而行이오 (바탕소/흴소,그기,자리위,말이을이,다닐행)

군자는 그 자신의 처지에 따라서 행할 뿐이요

不願乎其外니라(아니불,원할원,어조사호,그기,바같외)

그밖의 것을 원하지 않는다.

素富貴할땐行乎富貴하며(바탕소,부자부,귀할귀,다닐행,어조사호,부자부,귀할귀)

부귀에 처하여서는 부귀를 행하며

素貧賤할땐行乎貧賤하고(흴소,가난할빈,천할천,다닐행,어조사호,가난할빈,천할천)

빈천에 처하여서는 빈천에 마땅하게 처신하고

素夷狄하여서는 行乎夷狄하며(바탕소,오랑캐이,오랑캐적,다닐행,어조사호,오랑캐이,오랑캐적)

이적에 처하여서는 이적에 마땅하게 처신하며

素患難할땐 行乎患難이니

환난에 처해서 환란에 맞게 행동하는 것이니

君子는 無入而不自得焉이니라(임금군,아들자,없을무,들입,말이을이,아니불,스스로자,얻을득,어찌언)

군자는 들어가 자득하지 못하는 데가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