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중용 (19)
산이 좋은 날
중용33장 詩曰 시경에 衣錦尙絅 비단옷을 입고 오히려 홑옷을 걸쳤다고 하였으니 -絅 홑옷경 惡其文之著也 그 문채의 드러남을 꺼려한 것이다. 故그러므로 君子之道: 군자의 도는 闇然而日章 어둑어둑하면서도 날로 밝아지고 小人之道소인의 도는 的然而日亡뚜렷하면서도 날로 사그라..
중용32장 唯天下至誠 오직 천하의 지극한 정성됨이어야만 爲能經綸天下之大經 천하의 대경을 경륜할 수 있으며 立天下之大本 천하의 대본을 세울 수 있으며 知天地之化育 하늘과 땅의 화육을 알 수 있는 것이니 夫焉有所倚 어찌 의지하는 바가 있겠는가 肫肫其仁 그 인은 지성되..
중용31장 唯天下至聖 오직천하의 지성이어야 爲能聰明睿知 총명하고 예지가 있음으로써 足以有臨也 족히 임함이 있을 수 있으며 寬裕溫柔 너그럽고 넉넉하고 따뜻하고 부드러움으로써 足以有容也 족히 용납됨이 있을 수 있다. 發强剛毅 강함과 굳셈으로써 足以有執也 족히 고집함이 있으며 齊莊中正 (엄숙하고)장중하고 (곧고올바름)중정함으로써 足以有敬也 족히 공경함이 있으며 文理密察 조리있고 세밀이 관찰함으로써 足以有別也 족히 분별이있다. 溥博淵泉 두루 넓고 깊은 근원이 있어서 溥博如天 두루 넓음은 하늘과 같고 而時出之 제때에 나타난다. 淵泉 깊은 근원이 있음은 如淵 연못과 같다. 見而民莫不敬 보이면 백성들은 공경하지 않는 이가 없고, 言而民莫不信말하면 백성들은 믿지 않는 이가 없고, 行而民莫不說 행하면 백성들은 기뻐하지 ..
중용30장 仲尼 중니는 祖述堯舜 요임금과 순임금을 조상으로 이어받고 憲章文武 문왕과 무왕의 법도를 밝히셨다. 上律天時 위로는 하늘의 때를 법으로 따르고 下襲水土 아래로는 물과 흙의 이치를 따랐다. 辟譬如天地之無不持載비유하자면 마치 하늘과 땅이 잡아주고 실어주고 하지 않..
중용 제29장 王天下 有三重焉이니 其寡過矣乎인뎌 천하를 다스림에는 세가지가 중요한 것이 있으니 그렇게 하면 과오가 적을 것이다. 上焉者는 雖善이나 無徵이니 無徵이라 不信이오 不信이라 民弗從이니라 下焉者는 雖善이나 不尊이니 不尊이라 不信이오不信이라 民弗從이니라. 위인 ..
중용 제28장 子曰 愚而好自用하며 賤而好自專이오 生乎今之世하야 反古之道면 如此者는 烖及其身者也니라. 공자 말씀하시기를 어리석고 스스로(제멋대로) 씀을 좋아하며, 아래있으면서도 스스로 제맘대로 함을 좋아하고, 지금 세상에 나와서 옛날의 도를 어기려 한다면 이와 같은 ..
중용제21장 自誠明을 謂之性이오 自明誠을 謂之敎니 誠則明矣오 明則誠矣니라. 자성명을 위지성이오 자명성을 위지교니 성즉명의오 명즉성의니라. 정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性’이라 이르고, 밝음으로 말미암아 정성스러워지는 것을 敎라 이르니, 정성스러우면 밝아지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