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권필
- 탄도항
- 시흥자전거다리 일출
- 누에섬등대
- 오블완
- 소래산마애불
- 선유도
- 향로봉
- 티스토리챌린지
- 윤봉길의사 충의문
- 탄도항퇴작암층
- 관곡지
- 비봉
- 사모바위
- 한진항
- 대룡시장
- 감악산얼굴바위
- 영종도 노적봉
- 교동읍성
- 교동향교
- 임꺽정봉
- 백운대
- 상원사#적멸보궁
- 자운봉
- 담양
- 인수봉
- 소래산일출
- 응봉능선
- 카페프린스
- 북한산
- Today
- Total
산이 좋은 날
談虎虎至-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본문
耳談續纂에 "談虎虎至 談人人至 言不可其人之不在 而議其人" 호랑이도 제 말 하면 오고 사람도 제 말 하면 온다. 이것은 그 사람이 그 자리에 없다고 해서 그 사람에 대해서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이며 말만 잘하면 천냥 빚도 갚을 수 있다. 또 글속에 글이 있듯이
말 속에 말이 있다. 그 만큼 하고픈 말이 있으면 속 시원히 다 해야 하고 또 말을 잘 하면 처세에도 매우 유익하며말이 지니고 있는 뜻 또한 무궁 무진 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에"새서다르고 "애"해서 든 것이 또한 말이다 비록 사소한 차이라 할지라도 그 말씨 여하고 상대편에게 주는 느낌은 크게 다르게 마련이다. 그래서
[ 길은 갈 탓이요. 말은 할 탓이라.]는 속담도 생겼을 것이다. 음식은 먹을수록 줄고 말은 할수록 느는 법이다. 또 말은 할수록 거칠어지고 많을수록 쓸 말이 적어지게 마련이다. 그러다 보니 말을 맣이 하다 보면 수심히 한 말 때문에 공연히 큰 변을 초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 때문에 실없는 말이 송사 건다는 속담도
널리 퍼졌을 것이다.
明心寶鑑에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口是傷人斧 言是割舌刀 閉口深藏舌 安身處處牢]
[입은 사람을 상하게 하는 도끼요, 말은 혀를 베는 칼이니 입을 막고 혀를 깊이 감추면 몸이 어느 곳에 있어도 편안 할 것이다.]
酒逢知己千鍾少 話不投機一句多
[술은 나를 잘 아는 친구를 만나면 천 잔도 적고, 말은 그 뜻이 맞지 않으면 한 마디도 많으니라 ]
이는 결국 한마디 잘못한 것으로 인애 돌이킬 수 없는 근심을 불러오게 되고 재앙이 몸에 미치며 심지어는 생명을 잃은 뭉서운 결과까지를 가저 게 되니 말을 지극히 삼가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겠다.
膀胱(오줌통방,오줌통광) 潰滅(무너질궤,멸할멸) 雀巢(참새작,새집소)
僉押(다첨,누를압) 疸症(황달달,증세증) 凶煞(흉할흉,죽일살)
宸襟(대궐신,옷깃금) 鐵槌(쇠철,몽둥이퇴) 戟盾(창극,방패순)
堪輿(견딜감,수레여)하늘과땅 黍粟(기장서,조속) 隘陋(좁을애,좁을루)
釋尊(풀석,높을존) 萃聚(모일췌,모일취) 秤錘(저울칭,저울추추)
擄掠(빼앗을노,노략질할략) 坦懷(평탄할탄,품을회) 靄然(아지랭이애,그럴연)
嗾囑(부추길주,부탁할촉) 肌液(살기,진액) 喘咳(헐떡거릴천,기침해)
臼磨(절구구,갈마) 愾憤(성낼개,분할분) 藿湯(콩잎곽,끓일탕,미역국)
斧劈(도기뿌,쪼갤벽) 捐館(버릴연,집관) 擅恣(멋대로천,방자할자)
偈頌(불詩게,기릴송) 袂別(소메몌,다를별) 裏罫(속리,바둑판정간괘)
蓑笠(도롱이사,삿갓립) 刮磨(깍을괄,갈마) 捺染(누를날,물들염)무늬찍기
懲毖(징계할징/혼날징,삼갈비) 遡源(거스를소,근원원) 孕胎(아이밸잉,아이밸태)
蜀葵(나라이름촉,해바라기규)접시꽃 轟沈(울릴굉,잠길침/성심) 拐杖(속일괴,지팡이장)
宏闊(클굉,트일활) 廐吏(마구간구,아전리) 結紐(맺을결,끈뉴)
眄視(애꾸눈면,볼시) 補貼(도울보,붙을첩) 撤垈(거둘철,터대)
辜負(허물고,짐질부) 尨茸(삽살개방,무성할용) 杜鵑(막을두,두견이견)진달래
垢穢(때구,더러울예) 袞職(곤룡포곤,직책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