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타산행및여행 (64)
산이 좋은 날
퇴근하고 8시 부천역에서 하우고개 구름다리로...소래산을 올라 분주하게 달리는 밤을 앵글에 담았다.
등산의 기쁨이란 정상 그 거침없는 시원함이 최고의 맛이라 생각했는데, 오늘은 발끝에 채이는 풀 그것이 주는 즐거움이 새롭다. 인적이 드문 산길을 아내와 걸었다. 들 풀이 주는 눈부시지 않지만 정감 넘치는 그들을 한 눈으로 바라본다. 둘이서... 호젓한 산길 너른 바위에 앉아 커피를 마시며 산정..
우리땅 산줄기(초록) - 조선시대 산경과 고지도에 의한 - 이우형(李祐炯) 초고/1994.6. 동해 들머리 산경의 개요 여지도의 산경 산경과 풍수 고래의 산경원리 현대의 산맥 우리산과 산줄기 마무리 덧붙임 [들머리] 한 민족이 한정된 땅에서 수 십 세기를 살아왔다면 지리적인 환경, 즉 그 땅의 지형 지세는..
우리 땅 산줄기 백두대간 2002. 9. 6. ~ 11. 15. 현 진 상 목차 1. 백두대간(白頭大幹)이란 1. 1 백두대간의 개념 1. 2 백두대간의 실체 2. 『산경표』(山經表)란 2. 1 우리나라 산의 족보 <그림 1> 2. 2 산줄기 15개 - 1대간, 1정간, 13정맥 <그림 2>, <그림 3>, <그림 4>, <표 1> 2. 3 『산경표』는 언..
왜 백두대간(산경)이어야 하는가? 백두대간은 1900년대 일제시대에서 맥이 끊겨 잊혀지고 있던 순수 우리 산줄기 이름을 되찾자는 운동이며 그 중추에 백두대간이 있기 때문이다. 일제시대 때 고또분지로의 학술탐사용 지질구조를 야쓰쇼에이가 산맥분류그림으로 그렸고 이 그림을 다듬어 한국지지에 ..
백두대간이란? 하늘로 오르는 한 길이 있으니, 이름하여 백두대간이다. 또한 그 길은 세상 가장 낮은 곳으로 내려서는 길이기도 하다. 솟구치며 물을 풀어 놓는 까닭이다. 그리고 그 물은 온 땅을 적시며 뭇 생명을 길러낸다. 사람 또한 그 길을 오르내리며 삶을 엮어간다. 산에 등 기대고 강물에 발 적..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한국의 200대 명산 등산지도 가 가산 가리봉 가리산(경기-포천) 가리왕산 가야산 가지산 가칠봉 간월산 감악산(원주) 강씨봉 계룡산 계방산 곡달산 공작산 관룡산 관악산 광덕산 구나무산 구병산 구봉산..
IMG_7310_1151106173937.jpg0.01MB회전_DSCF3001_115110617462.jpg0.07MBDSCF2990_1151106174171.jpg0.03MBIMG_7425_1151106174250.jpg0.03MBIMG_7374_1151106174312.jpg0.03MBIMG_7386_1151106174375.jpg0.03MBIMG_7391_1151106174453.jpg0.01MB1144587699_DSC_0033_1151106174546.jpg0.08MB1_1151106174656.jpg0.04MB11_1151106174718.jpg0.04MB1142257509_DSC_0009_1151106174859.jpg0.0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