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비봉
- 소래산마애불
- 탄도항퇴작암층
- 한진항
- 선유도
- 시흥자전거다리 일출
- 탄도항
- 티스토리챌린지
- 상원사#적멸보궁
- 권필
- 교동향교
- 오블완
- 임꺽정봉
- 윤봉길의사 충의문
- 소래산일출
- 백운대
- 교동읍성
- 사모바위
- 누에섬등대
- 인수봉
- 응봉능선
- 영종도 노적봉
- 북한산
- 담양
- 대룡시장
- 관곡지
- 향로봉
- 감악산얼굴바위
- 자운봉
- 카페프린스
- Today
- Total
산이 좋은 날
제14장 본문
君子素其位而行,不願乎其外。
군자는 현재 자신이 처한 위치에 맞게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내 분수 밖의 것은 원하지 않는다
素,猶見在也。소는 현재이다
言君子但因 見在所居之位而 군자는 다만 현재 놓여있는 처지에 의거하여
為其所當為,마땅히 할바를 한다
無慕乎其外之心也。그 처해있는 처지 이외의 것을 하지 않는다
素富貴,현재 부귀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
行乎富貴;부귀한 처지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素貧賤,현재 빈천한 상황에 처해 있으면
行乎貧賤;빈천한 상황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素夷狄,현재 오랑캐의 나라에 있는 상황이라면
行乎夷狄;오랑캐 나라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고
素患難,현재 환란의 상황이 닥친 상황이라면
行乎患難;환란의 상황속에서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하니
君子 無入而不自得焉。(自得/스스로 만족함) 군자는 어떤상황에 처하더라도
스스로 만족하지 않는 경우는 없다
難,去聲。
此言素其位而行也。
이말씀은 현재 그 위치(처지,상황)에 맞게 행해야 할 도리를 행한다 것이다
在上位不陵下,윗자리에 있으면 아랫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
在下位不援上,아랫자리에 있으면서 윗사람에게 매달리지 않는다
正己而不求於人則無怨。자기를 바르게하고 남에게 요구하지 않으면
원망할 일이 없으니
上不怨天,下不尤人。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남을
탓하지 않는다 (尤/더욱 우,탓하다 우)
援,平聲。
此言不願乎其外也。
이말씀은 자신의 위치를 벗어난(분수에 넘치는)것은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故君子居易以俟命,小人行險以徼幸。
俟命(사명/임금의 명령을 기다림,天命에 맡김),俟(사/기다릴,대기하다)
고로 군자는 현재의 위치에 맞게 平易한 道理를 행하면서 天命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한 짓을 행하면서 요행(徼幸)을 바란다
易,去聲。
易,平地也。이는 평지야
居易,素位而行也。거이는 현위치에서 행해야할 도리를 행하는 것이다
俟命,不願乎外也。사명( 천명을 기다림)은 천명을 기다리는 것이외의 것
(바깥의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徼,求也。요는 구하다,탐하다이다
幸,謂所不當得而得者。행은 마땅히 얻지 말아야할 것을 얻는 것이다
子曰:「射有似乎君子;失諸正鵠,反求諸其身。」
失(어긋나다/실),諸(어조사/저),鵠(과녁/곡),
正鵠(정곡/과녁의 한 가운데가 되는 점)
자왈 " 활쏘기는 군자의 자세와 유사한 점이 있으니
활을 쏘아 정곡을 맞추지 못하면
자신을 돌이켜 그 원인을 찾는다"
正,音徵。鵠,工毒反。
畫布曰正,바탕천에 그려놓은 것을 正(과녁)이라 하고
(畫布/화포:그림을 그리는 바탕천),正(과녁:정,정곡:정)
棲皮曰鵠,가죽에 매달아놓은 것은 鵠(과녁:곡)이라 하고
(棲皮/서피 : 과녁),鵠(과녁/곡)
皆侯之中,다 侯(과녁/후)의 가운데이며
(侯 /과녁 후)
射之的也。射手의 표적이다
射(射手,射弓),(的 /과녁 적)
子思引此孔子之言,자사가 공자의 말씀을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以結上文之意。윗글의 뜻을 맺었다
右第十四章。子思之言也。凡章首無「子曰」字者放此。
우는 제14장이니 자사의 말이다.무릇 章머리에 "자왈" 이란
글자가 없는 것이 이와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