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선유도
- 권필
- 향로봉
- 비봉
- 응봉능선
- 윤봉길의사 충의문
- 대룡시장
- 시흥자전거다리 일출
- 누에섬등대
- 티스토리챌린지
- 상원사#적멸보궁
- 백운대
- 관곡지
- 자운봉
- 인수봉
- 한진항
- 교동읍성
- 영종도 노적봉
- 카페프린스
- 소래산일출
- 교동향교
- 담양
- 임꺽정봉
- 북한산
- 감악산얼굴바위
- 탄도항퇴작암층
- 오블완
- 사모바위
- 탄도항
- 소래산마애불
Archives
- Today
- Total
산이 좋은 날
百忍堂中有泰和 본문
728x90
(일근천하무난사)와
百忍堂中有泰和(백인당중유태화)를 흔히 짝지어서 사용한다.
일근천하무난사는 중국 속담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생전 정주영회장의 좌우명이기도 했으며
백인당중유태화 는
당나라 고종 때 사람 장공예(張公藝)는 남당(南唐) 때 진포(陳褒)라는 사람과 더불어 가족의 화목지도를 논하는 대표적 인물이다.
승정원일기에는 “唐 高宗 時, 張公藝 九世同居, 書忍百字”라고 소개되어 있다. 하루는 장공예의 친구가 찾아와 “3대도 한집에서 살기가 어려운데 어떻게 9대가 한집에서 살 수가 있느냐? 그 비결이 뭐냐?” 하고 물으니까 종이를 꺼내 놓고서 ‘참을 인(忍)자’를 백번 썼다고 한다. “참아라. 넘어오는 간도 삭여서 넘겨라.”하는 소리다. 그래서 후세 사람들이 “백인당중유태화(百忍堂中有泰和)라”, ‘백 번 참으면 당 가운데에는 크게 화평이 있다, 화기가 애애(靄靄)하다.’고 한 것이다.
이 고사를 ‘구세동거 장공예(九世同居 張公藝)’라 부른다.
이러한 장공예의 고
사는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도 율곡 이이, 안중근(보물 제569-1호) 등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한문고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물봉시각득향 (0) | 2016.12.07 |
---|---|
三日修心(삼일수심)은 千載寶(천재보)요, 百年貪物(백년탐물)은 一朝塵(일조진)' (0) | 2016.12.06 |
등관작루 (0) | 2016.12.04 |
秋朝覽鏡 (0) | 2016.12.01 |
明月夜留別(명월야유별) 달밤의 이별 - 李 冶- (0) | 201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