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북한산
- 비봉
- 탄도항
- 한진항
- 응봉능선
- 대룡시장
- 향로봉
- 선유도
- 탄도항퇴작암층
- 소래산일출
- 권필
- 윤봉길의사 충의문
- 임꺽정봉
- 백운대
- 오블완
- 인수봉
- 티스토리챌린지
- 사모바위
- 교동향교
- 담양
- 감악산얼굴바위
- 카페프린스
- 관곡지
- 상원사#적멸보궁
- 누에섬등대
- 자운봉
- 소래산마애불
- 교동읍성
- 영종도 노적봉
- 시흥자전거다리 일출
- Today
- Total
산이 좋은 날
今年寒食獨掩關이곡의 시 (한식날 홀로 앉아 심회(心懷)를 적다) 본문
출근길에 보니
花無十日紅이라는 말이
맞다. 벚 꽃이 졌다.
풍성하던 꽃 송이는 없다.
아래 시 구절에
人生富貴亦百歲
歲月一去無由還
인생 부귀 누려봐야
백년이 고작이요
세월 한번가면 돌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그려졌다
------------------------
한식무렵 시제를 지낸다.
올해도 주말 시제 참석차
시골에 간다 시제에
즈음하여 시 하나 찾아
옮겨보고 감상해본다.
가정 이곡의 가정집에서
한식날의 심회를 읊은
내용이다.
세월을 느끼게 하고
마음도 함께 짙어지는 것은 산소의 대열을 이끄시던 조부와
숙부 백부까지 다 떠나시고 아버지는 노환으로 거동을
못하신다. 이곡의 마음을 조금은 알것도 같다.
李穀(고려시대 1298-1351) 이색 의아버지
한식날 홀로 앉아 심회(心懷)를 적다
지난해에는
한식날에 서산에서 노닐었는데
금년에는
한식날에 홀로 문 닫고 앉았있네
봄바람에 궁중 버들은 예나 이제나 똑같건만
나그네 수심 어린 얼굴은 어디에서 펴 볼거나
함께 성묘할 덕공은
이 세상에 다시없고
무덤 사이에 보이나니
걸제하는 사람들뿐
고당의 거울에
흰 머리칼 많이도 비치건만
노래자(老萊子)의 색동옷
못 입은 지 오래 구나
고향 동산 꽃나무
모두 내 손으로 심어 놓고
꾀꼬리에게 남겨 주어
꾀꼴꾀꼴 울게 하나
인생의 부귀 누려 본들
백년으로 그만인데
세월은 한번 가면
다시 돌이킬 수 없어라
하늘이 일부러 우리에게
풍부한 감정을 주었나
무슨 일만 있으면
감회 일어 항상 못 견디게 하니
누가 이 몸 일으켜서
한번 억지로 취하게 할까
오랜 병에 나가지 못해서
허리 다리도 굳었군 그래
去年寒食遊西山
今年寒食獨掩關
東風御柳自今古
客路何處開愁顔
世無德公同上冢
但見乞祭來墦間
高堂明鏡多白髮
久矣不着萊衣斑
故園花木皆手種
留與黃鳥啼綿蠻
人生富貴亦百歲
歲月一去無由還
天敎我輩故鍾情
遇物興懷常不閑
誰能起我强一醉
久病不出腰脚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