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맹자 (45)
산이 좋은 날
孟子謂宋句踐曰(맹자위 송구천왈) 맹자께서 송구천에게 이르시길 子好遊乎아 吾語子遊하리라(자호유호아 오언자유하리라) 당신은 유세하기를 좋아하시오 내가 당신에게 유세하는 것을 말씀드리리다 人知之라도 亦囂囂니라(인지지라도 역효효니라) 남이 나를 알아주어도 또한 ..
孟子曰(맹자왈) 人不可以無恥니(인불가이무치니) 사람은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으면 안된다. 無恥之恥면(무치지치면)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음을 부끄러워하면 無恥矣이니라(무치의니라) 부끄러워 할일이 없게 될 것이다.
孟子曰(맹자왈) 求則得之하고(구칙득지하고) 구하면 얻게 되고 舍則失之하나니(사칙실지하나니) 버려두면 잃게 되니 是求는(시구는) 이경우에 구하는 것은 有益於得也니(유익어득야니) 얻는데 유익하다. 求在我者也일시니라(구재아자야일시니라) 나에게 있는 것을 구하기 때문이다. 求..
孟子曰 盡其心者는 知其性也니(맹자왈 진기심자는 지기성야니) 마음을 다 하는 자는 자기의 본성을 안다 知其性則知天矣니라(지기성칙지천의니라) 자기의 본성을 알면 하늘을 알게 되는 것이다. 存其心하여 養其性은(존기심하여 양기성은) 자기의 마음을 살피고 자기의 성을 기르는 것이 所以事天也요(소이사천야요) 하늘을 섬기는 바이다. 夭壽에 不貳하여(요수에 불이하여) 단명하거나 장수하는 것에 대하여 의심을 두지않고 修身以俟之는(수신이사지는) 자신을 닦아 천명을 기다리는 것이 所以立命也니라(소이입명야니라) 천명을 지키는 방법이다.
孟子曰 舜은 發於 畎畝之中하시고 傅說은 擧於版築之間하고 膠鬲은 擧於魚鹽之中하고 管夷吾는 擧於士하고 孫叔敖는 擧於海하고 百里奚는 擧於市하니라 故로 天將降大任於是人也신댄 必先苦其心志하며 勞其筋骨하며 餓其體膚하며 空乏其身하야 拂亂其所爲하나니 所以動心忍..
孟子曰(맹자왈) 欲貴者는 人之同心也니(욕귀자는 인지동심야니) 귀하게 되고자 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 같은 마음이다. 人人이 有貴於己者이언마는(인인이 유귀어기자이언만은) 사람마다 자기가 고귀한 것을 갖고 있으면서도 弗思耳니라(불사이니라) 그것을 생각하지 않은 뿐이다. 人之..
告子曰 性은猶湍水也라 決諸東方則東流하고 決諸西方則西流하나니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 猶水之無分於東西也니라 (고자왈 성은 유단수야라 결제동방칙동류하고 결제서방칙서류하나니 인성지무분어선불선야 유수지무분어동서야니라) 고자가 말하였다. "사람의 본성은 소용돌이치면..